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키르기스어 표기체계 및 외래어에 나타나는 러시아어적 요소와 언어정체성
슬라브학보
2015 .06
언어 상황의 종합적 판단을 위한 요소-키르기스어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5 .01
중앙아시아 키릴문자권 언어의 한글 표기법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글
2023 .06
Analysis of Linguistic Acculturation in the Kazakh
슬라브硏究
2020 .01
러시아의 문자개혁 정책과 소수 민족어의 문제 - 문자개혁 정책의 역사적 흐름과 그 길항에 대하여 -
한성어문학
2023 .02
카자흐스탄 언어정책의 특징과 전망- ‘언어정책’ 관련 이론들과 카자흐어의 현실적 언어지위를 중심으로 -
외국학연구
2022 .06
훈민정음 체계의 확장성과 개방성
국어국문학
2019 .06
코리안 표기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해석
겨레어문학
2020 .01
현대 터키어군 자음체계에 대한 음운론적 접근: 터키어, 아제르바이잔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우즈베크어, 위구르어, 추바시어를 대상으로
언어와언어학
2020 .01
문자 보내기
문학들
2020 .08
범언어적으로 본문자 표기 방식의 변화와 한글 전용
한글
2017 .03
문자 체계 변화에 따른 우즈베키스탄의 언어문화적 특성
슬라브학보
2016 .09
심연수 문학 사료에 나타난 표기상의 특징
영주어문
2021 .01
Развитие кыргызского кино в 1940-х - 2000-х годах
외국학연구
2019 .01
말하기 의사소통 활동에서 문자 언어 사용과 학습자의 문해력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초등영어교육
2020 .01
중국 동북3성 조선족학교 언어교육 현황 고찰
중국학
2022 .09
近代化 過程에서의 ‘言文一致’의 受容과 그 樣相
어문연구(語文硏究)
2019 .09
개화기 교과서의 표기와 음운의 연구 성과 및 전망
국어사연구
2018 .01
말을 두고 말해본다
중국조선어문
2017 .03
박태원과 이상의 소설과 삽화 연구 : 근대적 기획으로서의 문자와 그 전복의 시도
국어국문학
2016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