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식민지 경성과 ‘근대적 시간’의 발견
3. 『이상한 가역반응』과 시간의식의 탈근대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탈근대론과 한국 지식문화(1987∼2016)-전개 과정과 계기들
민족문학사연구
2018 .01
현대시의 시간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2017 .01
Period Films in the Postmodern or the “Enjoy!” Er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5 .08
『도쿄기담집(東京奇譚集)』과 커미트먼트(Commitment)와의 연관성 고찰 - ‘기혼자’의 양상을 통해 나타난 커미트먼트 방법론 -
일본문화학보
2019 .05
Strange Reversible Reactions
비평과이론
2015 .01
자기의식의 현상학 - 자기의식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
철학논집
2015 .05
필연성과 우연성이 교차하는 세계 - 칸트의 의식철학을 중심으로 -
철학논총
2024 .07
한국 근대 문학예술에 나타난 사회통합에 대한 시고
시민인문학
2020 .01
오장환의 초기 시에 드러나는 근대성과 내면의식 연구
국어문학
2019 .03
역사에서의 시간 -코젤렉과 리쾨르의 시간담론을 중심으로-
韓國史學史學報
2015 .01
시간을 의식적으로 다룬 시에 나타난 시간성 : 1930년대~194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7 .08
한국 근대문학의 시기 구분에 대한 일고찰 -근대와 탈근대의 기술 전개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3 .03
김종삼 시의 시간의식 : 전쟁 체험의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0
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01
호킨스의 의식이론과 목회상담
목회와 상담
2016 .01
국문학과 ‘근대’에 관한 몇 가지 생각
반교어문연구
2015 .01
근대계몽기 인쇄매체를 통해 살핀 ‘어문 의식’의 형성과 성장 과정에 대한 고찰 - 신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
2017 .01
내성의식 없는 지각의식의 가능성 문제에 관한 다학제적 접근 - 유식학과 정보처리이론을 중심으로 -
대동철학
2019 .01
근대적 한글 의식의 형성 맥락과 특수성
인문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