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말하기 유창성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및 논의
5.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나타난 채점자 신뢰도 및 일관성 연구
화법연구
2018 .01
고등학생 영어학습자의 말하기 평가에서 채점자 훈련의 효과 및 채점자 인식 분석
영어교육연구
2020 .01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의 채점 편향성 분석
이중언어학
2018 .01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최적의 채점자 배정 방식 연구 -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20 .01
A study on evaluating English speech rate: Focusing on professional vs. non-professional raters
언어연구
2019 .01
영어 말하기 평가에서 나타난 한국인 교사 채점자의 채점 경향성 분석
외국학연구
2017 .01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raining on Raters’ Bias toward Test Takers in Oral Proficiency Assessment: A FACETS Analysis
Journal of Asia TEFL
2018 .0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과 유창성 연구
이중언어학
2017 .01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고정 오류 연구
이중언어학
2016 .01
Fluency Scoring of English Speaking Tests for Nonnative Speakers Using a Native English Phone Recognizer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5 .06
How to improve speaking skills and fluency using diverse materials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2
한국어 교육의 流暢性 槪念과 構成 要因
국어국문학
2015 .06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정의적 변인이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국어교육연구
2022 .12
Effects of Korean Secondary English Teachers’ Perceived Criterion Importance on Scoring Behavior in L2 Writing Assessment
응용언어학
2023 .09
한국 영어 학습자의 유창성과 발음에 대한 비원어민 채점자의 이해 및 판단 기준 분석
영어학
2017 .12
쓰기 평가에서 채점 특성에 대한 피드백이 채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중언어학
2015 .01
Analysis of rater effect in the evaluation of second language grammatical knowledge in the context of writing: Application of a generalized linear model
언어연구
2019 .01
Exploring a Reading-Based Speaking Task for Developing Fluency in an EFL University Setting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15 .01
A Study of the Criteria Design and Application to the Criterion-Referenced Test of English
영어영문학
2018 .02
The Effect of Task Complexity on Test-takers’ Performance in a Performance-based L2 Oral Communication Test for International Teaching Assistants
영어교과교육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