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백원기 (대진대학교) 곽애경 (대진대학교) 김근홍 (대진대학교) 이명렬 (농촌진흥원) 최용수 (국립농업과학원) 김혜경 (농촌진흥원)
저널정보
한국양봉학회 Journal of Apiculture Journal of Apiculture Vol.33 No.1
발행연도
2018.4
수록면
33 - 42 (10page)
DOI
10.17519/apiculture.2018.04.33.1.3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8)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국내산 벌꿀의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밀감꿀의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알콜추출물의 농축 수유율은 84.5%였으며, GC-MS분석으로 유기용매별 추출한 주요 유기화합물은 trichloromethane, methylolpropane, cyclopentane, acetoxyethane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SPME분석에 의한 주요 향기성분 물질은 acrolein, acetic acid, chloracetonitrile, acrylaldehyde, silanamine, cycloheptatriene 등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25.06%, 조단백질 0.12%, 조지방 0.02%, 조회분 0.07%, 탄수화물 74.72%였고, 이는 대조군으로 실험한 아카시아꿀의 조단백질(0.1%), 조회분(0.06%) 함량보다 높았으며, 뉴질랜드산 마누카꿀의 조단백질(0.23%), 조회분(0. 24%) 함량보다 낮았다. HPLC로 분석한 유리당은 총당류가 밀감꿀 70.96%, 아카시아꿀 72.81% 및 마누카꿀 70.23% 값이 비교되었고 비타민 C는 3종류 벌꿀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ICP분석에 의한 무기질 성분은 밀감꿀에서 총 16종류로 Na(2.340ppm) 〉 Ca(1.751ppm) 〉 B(0.380ppm) 〉 Mg(0.365ppm) 〉 Fe(0.348ppm)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아카시아꿀에서는 총 22종류로 Na 4.527ppm 〉 Si 3.420ppm 〉 K 3.091ppm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마누카꿀에서 검출된 K 11.865ppm 〉 Na 5.573ppm 〉 Si 4.487ppm 〉 Ca 2.223ppm 등과 비교되었는데, 특히 함유된 K은 체내에서 Na배출 작용으로 고혈압 예방에 유리할 것으로 보이며, Si성분은 피부의 탄력적 기능 및 Ca성분은 뼈건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참고문헌 (4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