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동시기 서술 : 수탈과 차별의 두 축 형성
2. 해방공간 : 사적유물론에 입각한 경제배경 서술의 강조와 농업 집중
3. 1950년대 북한학계 : ‘약탈’로 강화된 ‘수탈’의 논리구조
4. 1960년대 : 토지조사사업과 회사령을 두 축으로 한 농업과 상공업의 경제배경 서술 정착
5. 1970년대 : ‘민족자본’으로 다시 주목되는 민족 상층부와 토지수탈 논리의 정교화
6. 1980년대 : 진보・보수학계의 대비되는 서술비중
맺음말 : 2000년대 이후 경제배경 서술의 퇴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3 · 1운동 수업 동향과 전망
역사교육
2019 .09
3 ․ 1운동의 사회 ․ 경제적 배경-동시대 원인분석과 부산의 지역성-
항도부산
2019 .01
3·1운동 100년의 ‘봄·밤’에 ‘바람’ -박찬승과 권보드래의 3·1운동 서사
역사비평
2019 .11
북한 정부의 3‧1운동 기념과 표상 - 『로동신문』(1946~2019)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2020 .01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Red Thread of International Peace History
Korea Observer
2019 .01
‘비폭력의 스펙터클’을 넘어서 -3·1운동 100주년의 폭력론
역사비평
2019 .11
“비록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꿈은 이루어졌나요?” : 초등학교 3․1 운동 역할극 수업 실행과 성찰
역사교육논집
2016 .01
3·1운동과 그 이후, 여성의 현실 참여
인문과학연구
2019 .01
전후 일본 조선사학계의 3.1운동 인식
역사와현실
2018 .06
3·1운동 100주년의 연구와 ‘3·1혁명론’
역사비평
2020 .02
3·1운동 100년의 기억과 기념 - 3·1운동 100주년 기획위원회 좌담 -
역사와현실
2019 .12
Special Discussion on the March First Movement’s Centennial 〈The March First Movement in East Asian History〉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18 .12
7차 교육과정 이후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한국사> 교과서의 1920년대 여성운동에 대한 서술 추이 연구
史叢(사총)
2024 .09
3·1운동 연구의 흐름과 매듭들 ―100주년을 맞이하여
역사비평
2020 .02
총론 : 3·1운동과 경기·인천지역
역사와현실
2019 .09
1920~30년대 전북의 독립운동과 3.1운동 세대
전북사학
2019 .01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the Centennial Anniversary Studies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Korea Journal
2021 .03
일본 역사 교과서의 3 · 1운동 서술 분석
역사교육
2019 .09
3.1운동 사례를 통해 본 역사 교과서의 시각과 구성에서의 변화 가능성 모색
사림
2021 .10
한국 근대문학의 알레고리 - 김남천의 희곡 「삼일운동」에 관한 몇 개의 주석
동방학지
2024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