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지배 (한국외대)
저널정보
역사학회 역사학보 歷史學報 第246輯
발행연도
2020.6
수록면
31 - 73 (43page)
DOI
10.16912/tkhr.2020.06.246.31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manner of the Nerchinsk Conference to see if it was a imitation of a simple Western order or whether it contained the unique character of Central Eurasia. The paper also focuses on the efforts of ambassadors to negotiate between Ch’ing and Russia before the Treaty of Nerchinsk. Through this, we try to find out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conference in Nerchinsk and the effects of these hybrids on the coexistence of the two countries.
The Nerchinsk Treaty was not the first treaty of China with the West, but rather an international agreement between the two empires of Central Eurasia. Above all, the Nerchinsk Conference was not a Western European model. Looking at the diplomatic culture of Ch’ing and Russia in the 17th century, Nerchinsk Conference was a result of acceptance and hybridity of various diplomatic rituals between Ch’ing and Russia on the basis of inland Asian diplomatic culture. This was possible because both sides were willing to accept the other culture and to put more emphasis on practical interests than justification.
With Nerchinsk treaty, Ch’ing and Russia overcame the crisis of war and laid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that will last at least 150 years.

목차

I. 머리말
II. 차간 칸과 보그도이 칸의 제국
III. 외교 의례의 타협과 러청의 만남
IV. 네르친스크 회담의 혼종과 공존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905-000868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