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국내의 동물보호 관련 제도
Ⅲ. 외국의 동물경찰제도
Ⅳ. 동물경찰제도의 도입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8. 9. 13. 선고 2017도16732 판결
[1] 구 동물보호법(2017. 3. 21. 법률 제1465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동물보호법’이라고 한다) 제8조 제1항은 “누구든지 동물에 대하여 다음 각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규정하면서 그 제1호에서 “목을 매다는 등의 잔인한 방법으로 죽이는 행위”를 들고 있고, 구 동물보호법 제46조 제1항은 같은 법 제8조 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4도2477 판결
동물보호법의 목적과 입법 취지, 동물보호법 제8조 제1항 각 호의 문언 및 체계 등을 종합하면, 동물보호법 제8조 제1항 제1호에서 규정하는 `잔인한 방법으로 죽이는 행위’는, 같은 항 제4호의 경우와는 달리 정당한 사유를 구성요건 요소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여 `잔인한 방법으로 죽이는 행위’를 하는 것 자체로 구성요건을 충족하고, 설령 행위를 정당화할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리나라 동물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법학논집
2015 .01
독일의 동물보호법제에 관한 고찰
유럽헌법연구
2017 .01
생명보호-거버넌스관점에서 동물보호법의문제점분석을 통한 합리화방안모색
홍익법학
2016 .01
동물의 지위에 대한 법정책적 담론- 현행법상 동물의 보호와 동물복지를 중심으로 -
법과 정책연구
2016 .01
우리나라 동물학대의 대응 및 한계 그리고 개선방안
법학연구
2017 .11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민법 개정안의 의의와 민사법의 향후 과제, 그리고 민사법의 한계
환경법과 정책
2022 .02
비교법적 고찰에 따른 동물 지위에 관한 담론
국제거래와 법
2022 .10
동물복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
2020 .01
동물의 법적 지위 변화와 동물보호법의 변화 모색
환경법과 정책
2022 .02
「동물보호법」의 입법적 평가와 향후 과제
공법학연구
2020 .11
동물 관련 법제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
법학연구
2017 .05
민법상 동물의 지위에 관한 예비적 고찰
법조
2021 .01
미국 동물법의 동향과 쟁점에 관한 법적 연구 : 동물학대금지의 형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015 .08
제19대 대통령선거 동물복지 공약에 대한 동물법적 평가와 향후 입법적 과제
경희법학
2017 .01
동물의 법적지위에 대한 민법 개정논의에 즈음하여 보는 동물보호법제 발전방향 -독일 동물보호법·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환경법과 정책
2022 .02
반려동물의 매매계약 당사자의 자격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법과 정책연구
2020 .01
동물보호법상 동물의 범위에 관한 일고
법학논총
2023 .03
동물학대죄의 헌법적 정당성에 관한 논의 - 동물의 지위에 관한 동물윤리학적 고찰과 헌법상 동물보호의무를 중심으로 -
강원법학
2021 .05
동물의 법적 지위 변화와 형사법의 변화 모색
환경법과 정책
2022 .02
인간과 동물의 반려관계 법제에 관한 연구 - 동물보호법상 반려관계의 형성부터 종료까지를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