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이후 tv드라마는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양적, 질적으로 상당한 성장을 거두었다. 이와 반대로 소설을 과거의 위상을 상실하고 영상에 그 자리를 넘겨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상에 발맞춰 영상문학으로서의 tv드라마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문학의 하위 장르로서의 영상문학의 개념과 그 범위가 명확하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tv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를 통해 영상문학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살펴 본 것은 이 드라마는 소설의 기법들을 차용하고 있다. 첫째, 그 동안 드라마의 인물들은 성장환경과 직업에 따라 성격이 정해져 있었으나 이 드라마에서는 소설에서 등장하는 입체적 인물을 구현하여 사건의 전개를 짐작할 수 없도록 했다. 둘째, 소설에서 볼 수 있는 시간을 맘대로 조작할 수 있는 몽타주기법 중의 하나인 플래시백을 사용하고 있다. 이 드라마에서 사용한 프래시백은 전개 부분과 중간부분, 그리고 끝부분에 다른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드라마의 유연한 전개를 돕고 있다. 셋째, 소설에서 사용하는 나레이션을 다양하게 사용한다. 특히 영상속에 시 문자텍스트를 삽입하고 그것을 등장인물이 나레이션함으로써 감정의 절제는 물론 시청자에게 여운까지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편소설에서 사용하는 장구분과 그에 따른 제사(題詞) 와 유사한 형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전개될 내용을 요약하여 보여주는 것과 함께 호기심을 자극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살펴 본 것은 tv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의 문학성이다. 일반적으로 문학성이라고 할 때, 상상력과 심미적 언어를 바탕으로 하여 보편성과 구체성을 띠어야 한다. 이 드라마는 중년의 등장인물들이 삶에서 상실의 아픔을 겪으면서 죽음을 맞이해 있고 서로의 이해와 갈등을 통해 사랑으로 승화시킨다는 점, 그리고 가족의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띠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당대 이혼의 문제와 연결되면서 그 이혼이 상대방의 외도에 의한 것이지만 사실은 상대방에게 그와 같이 행동하도록 만든 것이 자신에게도 책임이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구체성을 띠고 있다고 할 것이다.그러므로 tv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는 영상문학이라고 칭할 수 있다고 하겠다. 최근 tv드라마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모든 드라마가 영상문학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예술성과 문학성을 지닌 드라마를 적극적으로 연구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문학연구의 확장은 물론 드라마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2000s, TV dramas have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gaining worldwide popularity. On the contrary, the novel loses its past status and is given its place in the video. In line with this phenomenon, researches on TV drama as video literature are being done little by little. However, it is not clear that the concept and scope of video literature as a sub-genre of literature. In this article, I looked into the possibility of video literature through the TV Drama <First Let's Kiss >. First of all, this drama borrows a lot from novel techniques. First, the characters of the dramas have been defined according to their growth environment and occupation, but in this drama,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s that appeared in the novels cannot be predicted. Second, it uses flashback, one of the montage methods that can manipulate the time seen in the novel at will. The flashbacks used in this drama are used in different forms at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drama, helping the drama's flexible development. Third, the narration used in the novel is us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by inserting poetry text into the video and narrating the characters, they provide restraint as well as afterwards to viewers. Finally, it uses a format similar to the chapter divisions and explanations used in feature novels. This will stimulate your curiosity with a summary of what is going on. Next, I looked at the literary nature of the TV drama <First Let's Kiss >. Generally speaking, literaryity should be universal and specific based on imagination and aesthetic language. The drama is universal in that middle-aged characters face death as they suffer the loss of their lives, sublimate to love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conflict, and show the meaning of their families. In addition, while the divorce is linked to the issue of divorce of the time, the divorce is caused by the affair of the other party. Therefore, the TV drama <Kiss First> can be called the video literature. Recently, TV dramas have continued to grow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Not all dramas can be visual literature, but by actively researching dramas with artistic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ramas as well as the expansion of literary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