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재일동포사회의 학교교육의 개요
3. 조사방법 및 조사항목
4. 조사결과 및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유학의 아동교육(1) : 주자와 왕양명을 중심으로
양명학
2015 .08
재일조선인의 자기정체성 재구축과 민족교육의 공과
아시아문화연구
2018 .08
‘재일코리안 한국계 민족학교의 학교문화 특성에 관한 연구’에 대한 반론을 통한 민족학교 이해
일어일문학
2018 .05
안원(顔元) 『사존편(四存編)』의 교육적 의미 —「존학편(存學編)」과 「존성편(存性編)」을 중심으로—
동방문화와 사상
2021 .12
재일한국학교의 ‘한국역사’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동북아역사논총
2016 .09
재일한인의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2018 .04
경계인(境界人)의 뿌리 찾기: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2세의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16 .01
Transition from church school-centered education to family-centered Christian faith education
기독교교육 논총
2022 .03
日本の公立学校における民族学級の意味 : S小学校の事例を手がかりに
일어일문학
2017 .02
일본 내 한국학교 이해에 대한 연구Ⅰ : 사범대학의 역할 모색
일어일문학
2017 .02
재일동포의 “민족교육”을 위요(囲繞)한 배타구조의 변화
재외한인연구
2018 .01
조선시대 유교의 자녀교육론 : 태교와 아동교육을 중심으로
양명학
2017 .08
근대 가정학의 도입과정과 가정교육에 관한 연구 - 시모다 우타코의 『신선가정학』 번역과 중역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문화
2023 .03
일본 내 한국학교 지속가능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Ⅰ - 포용적인 양질의 교육 보장을 위하여 -
일어일문학
2020 .02
온라인 한국어 역사·문화 수업 개발 사례 연구 - 재일동포를 위한 한국어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22 .12
일본 내 한국학교 이해에 대한 연구 Ⅱ : 사범대학 진로 다변화 모색
일어일문학
2017 .11
일본 내 한국학교 이해에 대한 연구 Ⅲ : 통일 한국을 위한 사범대학 예비교사 교육의 방향
일어일문학
2018 .02
재일동포사회의 통일운동 흐름과 새로운 모색 ― 원코리아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박중호의 『回帰』론 : 민족사로서의 글쓰기와 정주의 재일성
일어일문학
2018 .02
앞으로의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의 방향
日本語敎育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