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에스더에 대한 평가
Ⅲ. 에스더의 미(美)와 지혜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에스더와 다윗 : 상호본문성 접근(Intertextual Approach)
피어선 신학 논단
2016 .08
Ruth vis-à-vis Esther: Reading Intertextually Ruth the ‘Widow’ and Esther the ‘Orphan’ as Diasporic ‘Immigrants’
구약논단
2019 .12
THE TAMAR STORY (GEN 38) AND THE ESTHER STORY (ESTH 2–8): AN INTERTEXTUAL READING
TORCH TRINITY Journal
2018 .11
에스더서 언어의 통시적 다양성에 대한 재고
성경원문연구
2023 .10
루터는 왜 에스더서를 싫어했는가? -에스더서에 대한 루터의 평가 재고-
신학논단
2019 .06
린 노티지의 Intimate Apparel : 옷의 정치학과 소통의 미학
현대영미드라마
2016 .12
[문맥설교_에스더] 에스더서를 어떻게 설교할까?
성서마당
2024 .09
실비아 플라스의 『벨 자』에 나타난 무망감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2024 .02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에스더서에 나타난 조언 장면(advice scene) 연구 - 크세르크세스와 그의 조언자들을 중심으로 -
구약논단
2019 .06
간호선교사 에스더 L. 쉴즈의 한국 사역
한국교회사학회지
2022 .05
Eine journalistische Recherchereise in die eigene familiäre Vergangenheit - Katja Petrowskajas literarische Reportage Vielleicht Esther(2014)
유럽사회문화
2022 .06
소비하는 욕망 - 실비아 플라스의『벨 자』와 1950년대 미국사회 소비문화
영어영문학
2015 .01
벨자에 나타난 에스더의정체성 탐사와 자아발견의 과정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Finding Mordechai at Persepolis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5 .07
『황폐한 집』의 구조 연구: 상호연관성의 주제를 잡아주는 도구
현대영어영문학
2022 .05
신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지혜
기독교교육정보
2022 .09
정중 어법과 우리말 존대법 : 에스더기를 중심으로
성경원문연구
2015 .10
고대세계의 지혜의 개념
기독교교육정보
2023 .06
지혜에 대한 기독교와 불교의 이해 : 기독교적 평가
ACTS 신학저널
2017 .01
‘버려진 돌’에서 ‘모퉁이 돌’로― 한국의 박에스더(金點童, 1877~1910)와 중국의 캉청(康成, 1873~1930) 비교 ―
이화사학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