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텍스트의 이름
Ⅱ. 해석의 난관: 본문과 부록의 모순
Ⅲ. 본문 - 사이렌의 비미롸 이성 비판
Ⅳ. 본문에서 부록으로 - 오디세우스의 비밀과 가상/진상 대립의 재현
Ⅴ. 비밀의 이중 구조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괴테와 카프카 문학의 오디세우스와 사이렌 형상연구 : 주체와 예술의 관계에 대한 근대문학의 접근방식에 관하여
카프카연구
2006 .12
카프카의 「사이렌의 침묵」에 나타나는 매체전환기적 단상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7 .01
카프카의 탈영토화하는 글쓰기 : 들뢰즈와 가타리의 카프카론
카프카연구
2005 .12
수수께끼 같은 세계 : 카프카와 클라이스트
카프카연구
2006 .12
테크노포비아와 테크노필리아 사이에서 : 현대 ‘기술매체’와 카프카의 서사텍스트
카프카연구
2012 .12
오디세우스와 세이렌의 대결 - 카프카의 ‘세이렌들의 침묵’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9 .12
카프카의 텍스트에 나타난 시간의식과 시간의 허구적 형상화 : 단편 「굴」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06 .06
이미지학 Bildwissenschaft의 정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 연구
카프카연구
2008 .06
카프카와 그래픽 노블
카프카연구
2019 .06
카프카와 다위니즘 : 다위니즘에 비춰본「학술원에 드리는 보고」
카프카연구
2016 .12
막스 브로트의 카프카 읽기
카프카연구
2016 .06
포스트 트라우마 시대의 기억문화 - 그 쟁점과 함의
독일어문학
2009 .01
클라이스트와 카프카 비교연구 II - 양면성의 원리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09 .01
욕망과 권력의 미로 : 카프카의 『소송』에 나타난 에로틱한 성의 현상학
카프카연구
2007 .06
이미지로 읽는 카프카의 「시골의사」 : 시간과 욕망
카프카연구
2006 .12
생명과 평화를 선사하는 성령의 역사 이해 : 1907년 평양의 대 부흥운동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2006 .06
「사냥꾼 그라쿠스」에 나타난 문명사의 비판과 작가의 사명
카프카연구
2002 .12
매체의 관점에서 본 카프카의 텍스트 : 『변신』의 시간성, 공간성
카프카연구
2004 .12
지각의 로지스틱과 시간의 공간화 : 카프카의 「사냥꾼 그라쿠스」와 무성영화
카프카연구
200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