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배진영 (연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사전학회 한국사전학 한국사전학 제14호
발행연도
2009.10
수록면
140 - 169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general, the adnominal clause modify the head nouns which have core meaning and are free form in a sentence. However, in some ‘V+adnominal clause endings+N+P’ constructions core meanings of nouns become weakened or changed. And then these ‘V+adnominal clause endings+N+P’ constructions function as the adverbial endings in the contemporary Korean. We will call these specific constructions as ‘Construction of Conjunctive Adnominal Cl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ogize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Construction of Conjunctive Adnominal Claus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 Idioms based in these ‘V+adnominal clause endings+N+P’ constructions, in the sense that meanings and functions. In this study we will compare meanings that ‘-ㄴ 결과 (로), -ㄴ 관계로, -ㄴ 덕분에, -(으)ㄴ/-는 마당에, -ㄹ 마당에, -는 바람에, -(으)ㄴ/- 는 탓에, -(으)ㄴ/-는 판국에, -ㄹ 판국에’ with the adverbial endings. In this study we deal with meanings of nouns in above idioms which relate causal connective relationship in meaning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onstruction of Conjunctive Adnominal Clause are grammatical units as the connective endings in that grammatical function.

목차

1. 서론
2. 접속 관형절 구성의 형식
3. 접속 관형절 구성의 형태적 특징
4. 접속 관형절 구성의 통사적 특징
5. 접속 관형절 구성의 의미적 특성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703-00329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