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한태 (충남대학교)
저널정보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法學硏究 第21卷 第2號
발행연도
2010.12
수록면
55 - 93 (3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in Korea,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regarding the political structure of South Korea is a controversial issue. The main issue is the power of the President which is too concentrated and too broad. The form of government is the central issue, and focuses on the choice of: 1)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2) Dual-system government (such as France) or 3) US presidential form of government.
According to our constitutional history has the Presidential System brought many incurable problems. The balance of powers did not function well in korean Constitutionalism. The presidential system of the Korean Constitution is criticized for the deficiency, the concentration of the power, the winner-takes-all system of the election, the single-term system for the presidency.
Dual-system government makes the present problems more serious, instead of solving or weakening them. If the President’s party and the major party in the Parliament are the same, the President could have, so to speak, unlimited power. And vice versa in a dual-system government, cohabitation is created whereby the President and the Prime Minister are pitted against each other, and political disorder ensues. Dual-system government results in the possible despotic power of the President or political conflicts between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Looking at different government structures, we can conclude that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realization of a responsible government. To carry the wishes of the people, which long for a responsible government, it seems to be realistically appropriate and also necessary to reform the constitution to a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Now it is matured, to change governmental system in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개헌의 필요성
Ⅲ. 정부형태에 따른 개헌론의 유형과 기본권 보장
Ⅳ. 새로운 정부형태의 대안으로서 의원내각제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1)

  • 헌법재판소 2004. 5. 14. 선고 2004헌나1 전원재판부

    가.헌법재판소는 사법기관으로서 원칙적으로 탄핵소추기관인 국회의 탄핵소추의결서에 기재된 소추사유에 의하여 구속을 받는다. 따라서 헌법재판소는 탄핵소추의결서에 기재되지 아니한 소추사유를 판단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 그러나 탄핵소추의결서에서 그 위반을 주장하는 `법규정의 판단`에 관하여 헌법재판소는 원칙적으로 구속을 받지 않으므로, 청구인이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360-000584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