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시작하는 말
Ⅱ. 하나님의 이름 계시, 출애굽, 예배공동체
Ⅲ. 시내산 사건에 나타난 예배이해(출19-24장)
Ⅳ. 마치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논쟁: 문제와 과제
성경원문연구
2016 .10
시내산 예배의 신학적 의미(출 24: 9-11)
신학논단
2016 .06
DIVINE CHARACTER AND THE FORMATION OF MORAL COMMUNITY IN THE BOOK OF EXODUS
구약논단
2000 .06
The First "Historical" Exodus : Dating of Exodus and Expulsion of the Hyksos
구약논단
1995 .09
기독교교육학자의 관점에서 본 예배의 위기와 성서적 대안
기독교교육정보
2008 .08
출애굽기의 신학
인문학연구
2011 .01
출애굽의 기억공동체와 5·18 기억공동체
신학전망
2017 .09
출애굽기의 여성신학
인문학연구
2002 .02
예배를 통해 이루어지는 생명 회복
신학과 목회
2017 .05
하나님의 신화와 인간의 우화가 함께 엮이는 기독교 예배와 설교
신학과 목회
2015 .05
Exodus in Modern Study and Some Theological Reflections on Historiography
성서학 학술세미나
2008 .05
디지털 환경속의 예배 갱신과 본질 회복에 관한 고찰 : 개혁신학 관점에서
기독교교육정보
2009 .08
현대예배학의 과제와 예배이해의 유형화 : 1960년대 이후 전개된 독일신학계의 예배이해의 다섯 가지 유형에 관하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4 .01
A Study of the Mt. Sinai Geography (pp. 27-42)
구약논단
2001 .04
Women and Redemption in Exodus 1:15-2:10 : A Rhetorical Analysis
구약논단
2004 .04
예배의식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기독교교육정보
2009 .12
On the Historical Present in The Story of Genesis and Exodus
영어영문학연구
2020 .01
濟州道 神堂과 堂神
한국민속학
1970 .07
예배역사적 관점에서 본 성결교회 예배의 기원과 방향
신학과 선교
2015 .01
신학적 행위와 종말론적 예술로서의 예배에 대한 신학적 이해 : -회상(Anamnetic)과 청원(Epicletic)으로서의 예배 신학 정립을 중심으로
장신논단
201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