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방송통신융합시대의 심의제도
Ⅲ.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1996. 10. 31. 선고 94헌가6 전원재판부〔위헌〕
1. 헌법 제21조 제2항이 언론·출판에 대한 檢閱禁止를 규정한 것은 비록 헌법 제37조 제2항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法律로써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언론·출판의 자유에 대하여는 檢閱을 수단으로 한 제한만은 法律로써도 허용되지 아니 한다는 것을 밝힌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4. 11. 25. 선고 2002헌바66 전원재판부
가. 심판대상조항들은 명의신탁을 내세워 증여세를 회피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세정의와 조세평등을 관철하고 실질과세의 원칙이 형식에 흐르지 않고 진정한 실질과세가 이루어지도록 이를 보완하려는 목적을 가진 것이어서 입법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며, 증여세회피의 목적을 가진 명의신탁에 대하여 증여세를 부과하는 것은 증여세의 회피를 방지하고자 하는 증여추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10. 4. 선고 93헌가13,91헌바10(병합) 전원재판부〔위헌〕
1. 영화도 의사표현의 한 수단이므로 영화의 제작 및 상영은 다른 의사표현수단과 마찬가지로 언론·출판의 자유에 의한 보장을 받음은 물론, 영화는 학문적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고 예술표현의 수단이 되기도 하므로 그 제작 및 상영은 학문·예술의 자유에 의하여도 보장을 받는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방송통합법제에서의 미디어 개념 정립
법과기업연구
2011 .07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의 도입과 채택, 확산에 관한 연구
Telecommunications Review
2003 .01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법과 정책연구
2017 .01
방송통신통합사업법 제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과학기술법연구
2013 .01
방송ㆍ통신 융합서비스의 적정 규제 방안 : 서비스의 공공재적 속성과 양방향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04 .11
한국의 방송통신 융합법제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언론과법
2010 .06
放送通信審議에서 自律規制와 表現의 自由
미국헌법연구
2011 .12
방송ㆍ통신수렴에 대응한 정책방향과 정책기구
방송통신연구
2000 .06
방송·통신서비스융합과 소비자정책 과제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2007 .09
헌법상 방송의 자유보장을 위한 현행 방송심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공법학연구
2013 .05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방송정책 방향에 관한 논의
방송통신연구
2008 .07
융합환경에서의 방송통신사업 분류체계와 진입규제
경제규제와 법
2010 .11
프랑스 방통융합법제와 그 시사점
경제규제와 법
2008 .05
현행 방송심의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규범학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언론과법
2009 .06
방송의 디지털화와 주파수 정책
방송통신연구
2012 .01
방송ㆍ통신 융합서비스에 대한 규제체계
경제규제와 법
2013 .11
방송과 통신의 융합화와 심의제도에 대한 향후 전망
언론과법
2009 .12
일본의 방송통신융합법제의 현황과 전망
언론과법
2010 .06
방송·통신 융합에 따른 해외사례 비교분석 : 유럽의 동향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2004 .07
현행 통신심의제도의 법적 문제점에 대한 고찰
언론과법
200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