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고통의 주체성 - 애도와 우울
Ⅲ. 『이민자들』- 포스트 홀로코스트 애도의 내러티브를 찾아서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ranslation Matters of Narrative Structure in German Contemporary Novels: A Case of W. G. Sebald
통번역학연구
2016 .01
Writing about the Holocaust Using Deliberate Obscurity in W. G. Sebald's Austerlitz
인문과학
2018 .01
제발트와 영화 : 『아우스터리츠』와 알랭 레네 영화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5 .06
시각장애인이 그린 얼굴 없는 초상화 - W. G. 제발트의 『이민자들』에 나타난 ‘시선’과 ‘얼굴’ 연구
카프카연구
2020 .10
W. G. 제발트의 일상의 미학: 『토성의 고리』속 우회로와 파편더미를 통한 역사 다시 읽기
비교문학
2022 .02
改新敎 映畫에 나타난 한국 改新敎의 이데올로기적 경향성 연구 –강대진 감독의 70-80년대 改新敎 映畫를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4 .03
떡갈나무에서 뽕나무로 : 제발트의 『토성의 고리』에 나타난 숲과 나무의 의미
카프카연구
2017 .12
독일의 기억문화-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팀의 <내 형을 예로 들어>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016 .01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매체적 기억 : 유디트 헤르만의 「차갑고도 푸른」 읽기
카프카연구
2018 .06
제발트의 『토성의 고리』에 나타난 이미지와 탈선적 글쓰기
독어교육
2024 .05
전후 독일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슐링크의 인식 - <책 읽어주는 남자>, <주말>, <귀향>을 중심으로
유럽사회문화
2019 .01
켈러, 발저, 제발트의 ‘야생의 사고’ – 제발트의 『전원에 머문 날들』을 중심으로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24 .03
자연주의와 세기전환기 문학의 사이에서 : 에두아르트 폰 카이절링의 『세 번째 계단』
카프카연구
2015 .12
W. G. 제발트의 『아우스터리츠』에 나타난 재현 미학 - 사진과 텍스트의 병치 효과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22 .12
거지 오페라에서 <서푼짜리 영화> 까지 - ‘서푼짜리 소재’의 변용 스토리텔링 연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9 .01
애도와 기억 -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의 <더 리더>에 나타나는 전후세대의 역사의식 비교
독일현대문학
2018 .01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이후의 문학- 구드룬 파우제방의 『구름』과 『그후로도 오랫동안』
독일어문학
2017 .01
21세기 새로운 예술미학으로서의 메타모더니즘 : 워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시리즈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017 .06
호모 데우스와 포스트휴먼 상상력 - 사이언스 픽션 문학 속 키메라와 사이보그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