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사건의 개요
Ⅱ. 판결요지
Ⅲ.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3. 1. 19. 선고 92누13073 판결
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조 제1항 소정의 “업무상의 재해”에 해당하기위하여 요구되는 업무수행성이라 함은 사용자의 지배 또는 관리하에서 이루어지는 당해 근로자의 업무수행 및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과정에서 재해의 원인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출·퇴근중의 근로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지배 또는 관리하에 있다고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3. 9. 26. 선고 2011헌바271 결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9. 3. 선고 99다24744 판결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소정의 업무상의 재해라 함은 근로자가 사업주와의 근로계약에 기하여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근로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재해를 말하므로, 출퇴근 중의 근로자는 일반적으로 그 방법과 경로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지배 또는 관리하에 있다고 볼 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9. 28. 선고 2005두12572 전원합의체 판결
[다수의견]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4. 11. 법률 제837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호에 정한 `업무상의 재해’란 근로자와 사업주 사이의 근로계약에 터 잡아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당해 근로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재해를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10. 8. 선고 93다16161 판결
공무원이 근무를 하기 위하여 주거지와 근무장소와의 사이를 순리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을 하던 중에 발생한 재해는 공무수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재해로서 공무원연금법상의 공무상 재해에 해당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5. 11. 선고 92누16805 판결
가. 근로자의 통근행위는 노무의 제공이라는 업무와 밀접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통근 방법과 경로의 선택이 근로자에게 유보되어 있어 통상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통근중에 발생한 재해가 업무상의 재해로 인정되기 위하여는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근로자가 이용하거나 또는 사업주가 이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6. 9. 29. 선고 2014헌바254 결정
가. 재판의 전제가 되는 법률이 아닌 대통령령은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이 사건 심판청구 중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제29조에 관한 부분은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대통령령에 관한 것이므로 부적법하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11. 14. 선고 97누13009 판결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조 제1호 소정의 업무상의 재해라 함은 근로자가 사업주와의 근로계약에 기하여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서 근로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재해를 말하므로, 출·퇴근 중의 근로자는 일반적으로 그 방법과 경로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6. 29. 선고 92누19309 판결
군무원이 운행이 연기된 전용열차 대신 일반열차를 타고 숙소로 귀대하던 중 열차 승강구에서 추락하여 사망한 것을 공무상재해로 인정한 사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4. 11. 선고 96누19840 판결
[1] 공무원연금법 제61조 제1항 소정의 유족보상금 지급요건이 되는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사망이라 함은 공무수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재해를 뜻하고, 이러한 공무상 재해에는 근무장소나 근무시간에 관계없이 담당업무 또는 이와 관련이 있는 업무수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재해라거나 순리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3. 9. 26. 선고 2012헌가16 전원재판부
가.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이하 `산재보험제도’라 한다)는 원칙적으로 보험원리를 도입하여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관한 사업주의 무과실손해배상책임을 전보하기 위한 제도이므로, 사업주의 지배관리가 미치지 아니하는 통상의 출·퇴근 행위 중 발생한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아니한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산재보험수급권은 법률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체적 권리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6. 2. 9. 선고 95누16769 판결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1994. 12. 22. 법률 제48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소정의 업무상의 재해라 함은 근로자가 사업주와의 근로계약에 기하여 사업주의 지배, 관리하에서 당해 근로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재해를 말하므로, 출·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출퇴근재해의 인정근거와 판례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방안 도출
강원법학
2015 .10
사회보장법에서 헌법문제와 입법정책- 헌재 2016. 9. 29. 2014헌바254 결정을 중심으로-
법조
2017 .01
영미법 국가들의 출퇴근재해 보상제도 : 미국, 호주, 캐나다, 영국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2015 .10
산재법상 출퇴근재해 인정의 문제점 : 자동차보험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8 .12
출퇴근재해에 대한 일본의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의 보상순위에 대한 소고
강원법학
2015 .10
산재보험법상 출퇴근재해의 도입방식에 대한 입법론적 소고
사회보장연구
2015 .01
출퇴근 재해 헌법불합치결정의 소급효 ? 대법원 2021. 6. 10. 선고 2016두54114 판결을 중심으로 ?
사회법연구
2021 .12
출퇴근 재해의 산재인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강원법학
2015 .10
이탈리아와 중국의 출퇴근재해 산재보상 제도 분석 - 한국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
사회보장연구
2015 .01
출퇴근 재해의 인정 기준
노동법학
2015 .03
출퇴근재해 보상과 자동차보험
법과기업연구
2015 .08
출퇴근재해 관련 헌법불합치 결정과 입법개선 방안 검토
노동법포럼
2017 .07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출・퇴근 중 재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 견해 평가 - 헌재 2016. 9. 29. 2014헌바254를 분석하며 -
법과정책
2017 .01
산재보험의 적용확대에 관한 정책적 과제
사회보장법학
2015 .12
과로성재해의 인정기준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법학논총
2017 .01
중국 통근재해의 공상 인정
노동법논총
2015 .04
산업재해의 현황과 사법적 구제
법학연구
2021 .09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상’의 개념과 인과관계
노동법논총
2022 .04
출퇴근 전쟁 없는 경기 터전 : 일하는 방식의 전환을 통한 출퇴근전쟁 완화 방안
정책연구
2023 .12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 입증책임의 정도 : 헌법재판소 2015. 6. 25. 2014헌바269 결정
노동법학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