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때부터의 체육수업에 대한 경험과 학생들이 바라는 체육수업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안산, 수원, 시흥)와 경기북부(남양주, 구리)에 소재한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1656명(남학생: 859명, 여학생: 79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회수 못한 설문 206부와 불성실한 설문 182부를 제외한 총 1268명(남학생: 644명, 여학생: 624명)이 선정되었다. 연구도구는 중학교 1학년부터 지금 현재까지 체육수업에서 느꼈던 기억과 즐거움 또는 즐겁지 않았던 기억, 체육수업에서 아쉬운 점과 앞으로 바라는 점을 개방형과 폐쇄형 문항이 복합적으로 구성한 총 7개 문항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폐쇄형 문항은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χ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문항들은 각 질문에 따라 성별로 나누어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학생들이 체육수업에서 느꼈던 기억들 중 ‘수업내용’에 대한 기억이 46.22%(f=906)로서 가장 많은 기억으로 남아 있었으며, 다음으로‘교사’(f=873, 44.54%), ‘수업환경’(f=181, 9.23%)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75.4%(n=956)의 학생들은 체육수업에서 즐거웠던 기억들 중 ‘좋아하는 종목’을 할 때가 24.81%(f=492)로 가장 많은 기억으로 남아 있었으며, 다음으로 ‘신체활동 기회’(f=398, 22.50), ‘자유시간’(f=344, 19.45%), ‘친구와 협력’(f=312, 17.64%), ‘배움과 성취’(f=223, 17.64%)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24.6%(n=312)의 학생들은 즐겁지 않은 기억들 중 ‘좋아하지 않는 종목’을 할 때가 24.54%(f=186)로 가장 많은 기억으로 남았으며, 다음으로 ‘부족한 신체활동’(f=173, 22.83%), ‘부족한 자유시간’(f=145, 19.13%), ‘제한적 참여’(f=129, 17.02%), ‘배움과 성취’(f=125, 16.49%) 순으로 나타났다. ‘즐거웠던 기억과 즐겁지 않았던 기억을 분석한 결과 ‘배움과 성취’에 대한 기억은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체육수업에서 아쉬웠던 내용분석 결과 ‘내용 없는 수업’(f=492, 31.99%)이 가장 많은 기억으로 남아 있었으며, 앞으로 체육수업에서 바라는 점 또한 ‘배움이 있는 수업’이 34.74%(f=536)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사는 체육수업에서 철저히 수업목표와 수업계획을 세우고 다양한 교수법과 연습방법을 점진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지도하여 학생들이 배움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신체활동의 기회와 즐거움을 가질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experiences. The subjects were 1656 11th grade students (859 male, 797 female) in five high schools in Gyeonggi South (Ansan, Suwon, Siheung) and Northern Gyeonggi (Namyangju, Guri) province. Total 1268 students (644 male and 624 female students) were finally chosen due to 206 unreleased statements and 182 unfaithful survey procedur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memories and fun or pleasant memories, about their past physical education class experieces. The open and closed questionnaires are employed to find students’ percep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rough the first to the tenth grade. Frequency analysis and x2 test were performed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open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contents of the class"(f=906, 46.22%) was the highest pick and "teacher" (f=873, 44.54%), "learning environment" memories(f=181, 9.23%) were the followings. From the enjoyable perspectives, 75.4% of students (n=956) supported "favorite events" the most (f=398, 22.50%), "free time"(f=344, 19.45%), "working with friends"(f=312, 17.64%), and "learning and achievement"(f=223, 17.64%). From the unenjoyable perspectives(f=186, 24.54%), "lack of physical activity"(f=173, 22.83%) was the worst pick and "lack of free time"(f=145, 19.13%), "restricted participation"(f=129, 17.02%), "learning and achievement"(f=125, 16.49%) were the followings. Analysis of pleasant memories and unpleasant memories revealed that memory of "learning and achievement" was almost none. From the unsatisfied feeling, "meaningless class(lesson)"(f=492, 31.99%) was ranked the most worst memory. In the future, the most desirable physical education class should provide more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and satisfaction on physical activity so students can feel that they learned something systematically in the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