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들어가며
Ⅱ. 창작민화운동, 과정과 배경
Ⅲ. 창작민화의 현주소-당위성과 문제점
Ⅳ. 전승과 창작을 넘어-21세기 민화의 ‘길 찾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세기 말-20세기 초 민화의 수집 · 보존 활동과 민화 명칭의 쟁점 검토
한국민화
2022 .06
20세기 민화의 제작과 유통 일면 고찰 - 전주역사박물관 김철순 기증민화를 중심으로
한국민화
2021 .06
중국 주산군도(舟山群島) 어민화(漁民畵)를 통해서 본 민화의 민속학적 접근
한국민화
2016 .12
민화전시 관람동기가 만족도를 통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2017 .08
사찰민화와 불화 속 궁중회화 양식의 경계
한국민화
2023 .12
민화 수집과 조선민화박물관 설립
한국민화
2023 .12
꽃의 판타지: 민화 꽃그림 연구
한국민화
2020 .12
민화(民畵)와 인쇄(印刷) 그림의 관계 고찰
한국민화
2018 .10
민화민속학 시론
한국민화
2017 .12
민화의 원래 의미와 현대적 의미
한국민화
2017 .12
1980년대 창작민화와 채색화 운동
한국민화
2022 .12
문화적 성향과 민화작품 관람동기의 관련성 : 민화작품의 특성 및 교육적 시사점
상업교육연구
2021 .10
섬 관광활성화를 위한 민화속 화훼의 도상적 상징성 연구
한국도서연구
2020 .01
현대민화의 개념, 명칭, 장르의 문제
한국민화
2024 .06
민화 연구의 역사와 전망
한국민화
2017 .12
민화의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매체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예술심리치료연구
2024 .09
민화 초본에 대한 연구 -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무신도 초본을 중심으로 -
한국민화
2021 .12
동아시아 고판화의 제작과정 고찰
한국민화
2020 .12
수묵과 민화작업을 해온 미술치료사의 시간성을 담은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02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