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세계문학비교학회 세계문학비교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제62호
발행연도
2018.1
수록면
289 - 310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세계적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Bernard Werber)가 쓴 첫 번째 희곡 『인간 Nos amis les humains』은 극텍스트의 중요성이 작가의 ‘다르게 생각하기’로 형상화된 ‘연극 소설(roman-théâtre)’로, 다시 말해 전통적인 극작법을 뛰어넘어 그렇지만 텍스트의 수준에서 때로는 대화 형식으로, 때로는 지문으로, 때로는 서술적 묘사로 극을 이끌어나가는 문학 장르를 초월한 파격적인 작품이다. 『인간』은 인류의 마지막 생존자인 한 쌍의 남녀가 한 순간에 우주 어느 행성의 유리 감옥에 갇히게 되고, 그 안에서 지구에서의 인간의 삶과 행동에 대한 남녀 간의 견해 차이를 보여주는 2인극인데, 작가는 ‘외계 동물의 애완인간’이라는 독특한 설정과 세밀하고 풍부한 상상력으로 인간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막과 장의 구분도 없이, 대사와 지문들을 불규칙하게 병렬시켜 거의 소설과 흡사한 『인간』 속에 표현된 언어들을 극텍스트의 구성 요소인 대사와 지문으로 나누어서 작가가 어떤 극 기법(technique dramatique)으로 ‘연극 소설’을 완성해나가는지 그 과정을 파악해보는 것이다. 둘째, 『인간』에는 인물들 간의 행위나 지문 속에서 사건의 전체적인 내용을 함축하고 통일성을 이루는 줄거리가 있다. 작가는 지구에서의 인간 생활과 우주 공간의 외계 생명체가 바라본 인간 존재를 철학적・윤리적・정치적인 관점에서 어떤 줄거리로 구성하고, 어떤 결말에 이르게 하며, 또한 그 결과를 독자나 관객은 어떻게 인식해야(또는 받아들여야) 하는지 가늠해보았다. 셋째, 극텍스트 속에 숨겨져(또는 드러나) 있는 모든 연극적 장치들을 찾아내고, 국내・외 무대에서 공연된 영상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연극적 장치들이 실제 상연에서는 어떻게 연출되어 어떤 연극적 효과로 관객에게 전달되는지를 간파해내는 것이다. 베르베르 문학의 특성인 ‘다르게 생각하기’로 쓰인 『인간』에서 인간이 외계 생물체에 의해 애완동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설정이 꽤나 섬뜩하지만 기발하기도 하고, 단 두 명의 등장인물과 하나의 장소만으로도 많은 이야기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 매우 놀랍고 흥미롭기도 하다. 하지만 『인간』은 읽는(또는 관람하는)동안 보다 읽고 난(또는 관람한) 후에 우리 인간에게 더 많은 여운을 남겨주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인간의 온갖 만행이 드러나고 있음에도 과연 인간은 지구상에서 계속 살아가야할 존재인가, 아니면 그 죄악으로 인해 사라져야할 존재인가? 『인간』은 우리 인간의 행동에 뒤따르는 모든 결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케하고 일깨워주는 작품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