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선정원 (명지대학교)
저널정보
행정법이론실무학회 행정법연구 行政法硏究 第47號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145 - 172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의 헌법제정자들은 조직의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며 정치권력에 의한 불합리한 조직개편을 견제하고자 정부조직법정주의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경제사회의 발전과정에서 정치권은 행정조직개편을 사회발전을 위한 적극적 대응수단으로 삼아 정권교체기마다 빈번하게 조직개편을 단행해왔다.
이 글에서는 경제관련부처를 중심으로 정부조직의 개편역사를 개괄적으로 살핀 후 과도하게 빈번한 정부조직개편이 최근에 와서는 더욱 더 조직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기관이기주의를 고착시키며 오히려 업무처리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의 정부조직개편과정에 큰 영향을 미쳐왔던 철학과 정신을 ‘작은 정부’론, 계층제론과 네트워크론으로 나눈 후, 적절한 경험사례를 통해 교훈을 찾고자 하였다. 정부조직의 축소와 확대 · 신설의 경험으로부터 배울 교훈을 도출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의 안전을 감독하는 조직과 해양교통의 안전을 담당하는 조직의 설치연혁을 비교하며 법적 교훈을 도출했다. 정부조직의 통합이후 나타난 문제점들에 대한 대응방안을 찾기 위해 행정위원회(특히, 국민권익위원회)들의 통합사례를 분석했다.
장래에는 부처간 통합보다는 소규모의 조직개편이 더 필요하다고 보고 특정 부처 내부에서의 세부기구의 개편에 관한 현행 기준들을 검토하여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네트워크 이론에 관한 경험사례로서 1980년대 한국에 도입된 후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 · 허가의제 제도의 운용경험을 분석했다. 인 · 허가의제 제도는 계층제적 의사결정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행정기관이 복수의 행정기관들과 협력하여 행정결정을 내리는 업무처리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법연구를 위해서도 중요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행정조직법학의 의의
Ⅱ. 정부조직법상 정부조직의 개편역사와 현재의 구조
Ⅲ. 정부조직개편의 철학과 주요 교훈들
Ⅳ.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5)

  • 헌법재판소 2010. 2. 23. 선고 2010헌마64 결정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4. 4. 28. 선고 89헌마221 전원재판부〔각하·합헌〕

    1. 헌법재판소법(憲法裁判所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憲法訴願)은 동법(同法) 제41조 제1항의 규정(規定)에 의한 위헌여부심판(違憲與否審判)의 제청신청(提請申請)을 법원(法院)이 각하(却下) 또는 기각(棄却)한 경우에만 당사자(當事者)가 직접 당재판소(當裁判所)에 헌법소원(憲法訴願)의 형태로 심판청구(審判請求)를 할 수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4. 4. 16. 선고 2014헌마263 결정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2. 2. 9. 선고 2009두16305 판결

    구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2008. 3. 28. 법률 제900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지원특별법’이라 한다) 제29조의 인허가의제 조항은 목적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고자 하는 데 입법 취지가 있는데, 만일 사업시행승인 전에 반드시 사업 관련 모든 인허가의제 사항에 관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2. 11. 10. 선고 92누1162 판결

    가. 건설부장관이 구 주택건설촉진법(1991.3.8. 법률 제4339호로 개정되기전의 것) 제33조에 따라 관계기관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사업계획승인을 한 이상 같은 조 제4항의 허가·인가·결정·승인 등이 있는 것으로 볼 것이고, 그 절차와 별도로 도시계획법 제12조 등 소정의 중앙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63-002169590